[친절한 도슨트] 코아스, 77억원 규모 신주 상장 금지 가처분 소송 제기당했다

코아스가 박태영 씨로부터 약 77억 원 규모의 신주 상장 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당했다고 19일 공시했습니다. 이번 소송은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전환사채 행사로 발행된 주식 7,675,720주의 상장 및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를 금지해 달라는 내용입니다.

?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 전환사채(CB)는 회사가 돈을 빌리면서 나중에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채권입니다. 이 권리를 행사하면 새로운 주식이 발행됩니다.

코아스는 현재 800억 원 규모의 바이오 사업 투자를 추진 중이지만, 상반기 92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은 회사가 계속 사업을 이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불확실성을 경고한 바 있습니다.

? 완전자본잠식은 회사의 자본금이 모두 바닥나고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 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는 신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소송은 코아스의 경영에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투자 계획에 필요한 자금 조달 방안과 소송 결과가 코아스의 향후 경영 전략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신주 상장 금지 가처분 소송이 회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나요?

? 신주 상장 금지 가처분 소송은 회사가 발행한 새로운 주식이 증권시장에 정식으로 거래되는 것을 막아달라는 법적 절차입니다. 만약 법원이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이면, 해당 주식은 상장되지 못하고 거래가 불가능해집니다.

이는 회사의 자금 조달 계획에 큰 차질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코아스처럼 대규모 신규 사업 투자를 추진하는 상황에서는 자금 확보가 매우 중요한데, 신주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금지까지 청구된 만큼, 경영권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코아스는 현재 재무 상태가 좋지 않고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불확실성 경고를 받은 상황이므로, 이번 소송 결과에 따라 경영 불확실성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 행위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