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시스템 관리 계약…계약금액 비공개
2046년까지 장기 사업 안정성 확보
? 공시 신선도 : 3 / 5
? AI 평가 : 두산퓨얼셀의 장기유지보수계약(LTSA) 체결은 정기적으로 반복되는 유형의 공시이며, 유사한 계약 체결 소식이 공시일 기준 3개월 이내에 여러 차례 보도되었다. 다만, 이번 공시의 계약 상대방인 ㈜울산에너루트2호와의 계약 체결 사실은 언론 보도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며, 계약금액이 비공개되어 주가나 기업 경영 상황에 미칠 영향이 불확실하다. 따라서 핵심 정보는 이번 공시를 통해 처음 공식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두산퓨얼셀은 울산에너루트2호와 20년 장기 유지보수 계약을 8일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2025년 9월 5일부터 2046년 10월 14일까지다. 두산퓨얼셀은 이 계약을 통해 자사가 주기기를 납품한 부생수소 활용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장기 유지보수 용역을 제공한다.
계약금액은 경영상의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으며, 2026년 9월 5일 유보기한 종료 후 공시될 예정이다. 대금은 분기별로 지급되며, 계약금이나 선급금은 없다. 이번 계약은 두산퓨얼셀의 매출 안정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년이라는 장기 계약 기간은 향후 매출 안정성을 높이고 장기적인 사업 전략 수립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보인다. 부생수소 활용 연료전지 발전소는 친환경 에너지 생산에 기여하는 사업으로, 정부의 친환경 정책과 맞물려 시장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다.
두산퓨얼셀은 2024년 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4,118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영국 세레스와의 협력을 통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양산에 돌입하며 신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 증가 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삼고 있으며, 수소연료전지 시장에서 약 50%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다만, 높은 생산 원가로 인해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한 1,285억원을 기록했으나, 당기순손실은 25억 8,000만원으로 손실 폭이 확대되었다. 애널리스트들은 향후 3년간 매출이 연평균 13%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지만, 수익성 확보에는 여전히 구조적인 한계가 지적된다.
이번 장기 유지보수 계약은 수익성 개선에 일정 부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나, 높은 생산 원가 문제 해결과 수익성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공시 바로가기: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 발표 시각: 2025-09-08 09:16:57
? 참고기사
– 카앤 – 두산퓨얼셀, Ceres SOFC기술 양산개시
– Goover – 두산퓨얼셀: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와 미국 시장 진출로 인한 …
– Goover – 두산퓨얼셀: 최근 동향과 주가 전망 분석
※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 행위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